top of page
수처리 > 처리기술

하수 및 가축분뇨 악취처리 (HMDS)

탈취시설 문제점

기체성 악취제거 시설 (BIO - FILTER 등 포집탈취시설) 문제점

계절적 악취변화

- 하절기 : 악취의 팽창

- 동절기 : 미생물의 위축

- 저기압 : 악취의 저변확산

악취물질의 이동으로 악취발산

- 생슬러지 → 농축 → 소화 → 탈수

- 잉여슬러지 → 원심농축

고체성 악취의 대책 방법 전무

- 시간에 따른 부패속도 증가시 악취농도 및 용량 증가

- 악취나는 찌꺼기 건조, 고형화시 탈취 비용 증가

- 탈수된 고체(cake)의 저장, 운반 과정에서 악취 민원 증가

HMDS Process 적용시 효과

HMDS Process 발생원 악취 제거 (친환경 시설로의 전환)

 ( 환경신기술 제369호/ 환경신기술 제29호 / 특허 제0361453호 / 특허 제0487582호 )

근원적 악취제거

 1. 발생원에서 발산 전 악취 제거
 2. 악취발생물질(협잡물, Cake, 슬러지

     자체 악취 제거
 3. 탈수 Cake 건조 및 소각시 악취발생이      현저히 감소
 4. 포집에 의한 악취의 한계성 극복
 5. 기기 부식화 방지 설비 내구년한 연장
 6. 근무환경개선 혐오시설이미지개선
 7. 주변 민원 해소처리장 주변 공원화

반류수 농도저감

 1. 고농도 반류수 농도 저감 / 고도처리        저해요인 해소
 2. 수처리 충격부하 격감 : 유기물 및

     질소 , 인 처리 효율의 안정화
 3. 농축효율 상승에 따른 반류수

     농도 저하

슬러지 안정화

 1. 탈수 효율 향상
 2. 응집제 사용량 감소
 3. 탈수케익 2차 분해 방지

 4. 슬러지 안정화로 해양투기 금지에

     대한 대처

   - 지렁이 사육

   - 과수원 토양개량제

HMDS Process 주요효과

분뇨 협잡물 / 침사 악취 저감

반류수 악취 및 농도 저감

고도처리 저해요인 사전제거

탈수 CAKE 악취 제거

탈수효율 향상

생슬러지, 소화슬러지

자체 악취 저감

악취물질의  相變化 및 移動시  
총 체 적(根源的) 악취제거

HMDS내 토양 미생물의 기능 및 역활

토양 미생물의 생육

​생물학적 입단화작용

(aggregation)

- 유기물 잔사와 토양입자 표면에 미생물의 균사체가 형성,결합하여 입단화되면서 이들 공극에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

화학 주화성

(chemotaxis)

- 미생물이 생육에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여 이동하는 성질의 기작

토양 미생물의 역활

- 에너지를 소비하는 가변적 대사능력

- 유전형질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복제

- 포자 & 내생포자 형성하여 휴면상태 및 증식

- 유기물 / 무기물의 분해, 생산 등 전이과정에 촉매작용

기존탈취시설과 HMDS 비교표

구    분

BIO-FILTER

HMDS PROCESS

초기투자비

유지관리비

반사적이익

근무환경

결   론

적다

크다

크다(구동부가 많다)

적다(구동부가 거의 없다)

부지사용이 용이

기기 내구년수

(10~15년 교체)

집단민원 없어 주민추천공법

하수고도처리 비용저감

(반류수 농도 저하)

탈수효율제고 및 약품투입량 감소

탈취시설 불필요

탈수 Cake의 소각, 건조시 악취 무관

20년 이상 사용

(현재 금호, 금당 현장에 사용중)

악취로 인한 기기부식으로 내구연한 단축

근무자의 악취피해

기기내구연한 연장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

시공된 현장 6개월후부터 악취발생으로 집단민원

⇒ 발생한 악취 제거

근원적 제거 곤란

저농도 악취 제거유리

근원적 악취 제거(주민요구사항)

고농도 악취 근절 유리

bottom of page